배상책임이란 것은 개인 혹은 기업이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게 되었을 때, 그 손해 부분을 피해를 본 피해자에게 보상해 주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. 배상책임을 보험으로 보장하는 것이 배상책임보험인데요, 오늘은 배상책임보험의 종류를 몇 가지 설명 드릴까 합니다. 자동차의 책임보험과 다중이용업소 화재배상책임보험, 어린이 놀이시설 배상책임보험, 학교경영자 배상책임보험, 가스사고배상책임보험, 적재물 배상책임보험 등 각종 배상책임보험은 법적으로 반드시 가입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. 배상의 책임이 있는 사람이 다른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아무 대책없이 피해자에게 보상을 제대로 해주지 못한다면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될 수 있고, 국가에서 일일히 보상해 줄 수도 없기 때문에 배상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법으로 정해..
요즘 개인사업 준비 하시는 분들이 주변에 늘어나면서 사업자 등록을 할 때 간이과세사업자로 할지 일반과세사업자로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, 오늘은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차이에 대해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.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는 세액계산 구조가 다릅니다. 일반과세자는 공급가액의 10%를 납부세액으로 계산하지만, 간이과세자는 공급가액과 납부세액을 합한 공급대가의 10%에 업종별 부가율을 곱하여 계산하게 됩니다. 쉽계 예를 들면 간이과세자에게 100만원의 매출이 발생했다면 100만원의 납부세액인 10만원을 합한 110만원의 10%에 업종별 부가율10%(음식점인 경우)를 곱한 11,000원을 납부하게 됩니다. 아마도 간이과세자의 가장 큰 혜택이 아닐까 합니다. 간이과세자는 부가세 신고도 1년에 1..
흔히들 실업급여라고 하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고용보험에 가입을 한 "직원", 혹은 "월급쟁이"로 근무하다가 회사에서 부당해고를 받거나 회사가 어려워져 불가피하게 퇴사했을 때 받을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2012년 1월부터 자영업자도 본인 희망에 따라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고 폐업시 실업급여를 수령할 수 있게끔 '자영업자 고용보험제도'가 마련되었지만 2018년을 살고 있는 지금도 사장님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. 자영업자 고용보험은 근로자를 사용하지 않는 '나홀로 사장님'이나 50명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가 희망에 따라 가입이 가능합니다. 가입을 한다면 고용안정, 직업능력개발사업 및 실업급여에 모두 가입하면 됩니다. 주..